
이제 여름은 4계절 중 가장 긴 계절이 되었고, 여름이 길어지면서 우리 생활에 에어컨은 필수가전이 되었습니다. 여름이 다가오면 자연스럽게 에어컨부터 점검하게 됩니다. 해야지~하면서 미루다가 갑자기 더워진 날씨에 에어컨을 켜자마자 쿰쿰하거나 쉰 에어컨 냄새가 올라온 경험 있으신가요?
작년에 에어컨을 틀었는데 심한 냄새는 아니지만 뭔가 시원한 바람이 나오지 않는 정도로 온도가 맞춰졌을 때는 쿰쿰한 냄새가 올라오는 것이 느껴졌습니다. 그래서 인터넷으로 검색을 해서 필터 청소도 해주고 냉방 후에는 꼭 송풍으로 내부 건조도 신경써서 해주었습니다.
저와 같은 경험 후에 에어컨 냄새 제거를 위해 검색해서 이 글을 읽는 분들이 계시겠죠? 이글에서는 전반적인 에어컨 냄새 관리에 대해 정리를 해두었습니다. 갑작스러운 에어컨 냄새로 불편한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불쾌한 냄새는 곰팡이와 세균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우리 가족의 건강을 위해서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하기 전에 에어컨 청소와 점검은 필수입니다.
에어컨 냄새, 왜 나는 걸까?
에어컨을 틀었을 때 냄새가 나면 제일 먼저 ‘아~ 곰팡이 제거제 주문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그렇게 주문한 스프레이를 열심히 뿌렸지만 뭔가 냄새가 제거된 것 같지 않다면? 냄새의 원인은 대부분 먼지와 곰팡이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 외의 원인도 있을 수 있으니 한번 살펴보고 점검한다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필터에 쌓인 먼지 : 커버를 잘 씌워 두었다고 하지만 겨울 내 방치된 에어컨 필터는 먼지와, 세균, 미세먼지까지 고스란히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관리를 잘 했더라도 날씨가 더워진다면 눈에 보이지 않는 먼지를 깔끔하게 닦아내고 사용을 하면 더 쾌적하게 올 여름을 보낼 수 있습니다.
- 실내기 내부 곰팡이 : 냉방을 하루 종일 돌리고 급하게 에어컨을 끄고 다닌 적 많으시죠? 냉방 중 생긴 습기를 송풍으로 말려줘야하는데 그 루틴을 지키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이럴때 곰팡이가 번식하기 딱 좋은 환경이 만들어집니다. 이미 곰팡이가 생겼다면 제거 안하고 사용했을 때 냄새와 함께 공기중으로 곰팡이가 퍼져나갈 수 있으니 내부 청소도 진행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 배수 호스의 물 고임 : 물 빠짐이 원활하지 않을 때도 안보이는 곳에서 악취가 생길 수 있습니다. 에어컨 배수 호스에 고여진 물로 인해 악취가 날 수도 있고 배수 호스를 하수구쪽으로 연결하면 배수 호스를 타고 올라온 악취가 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악취가 하수구 냄새와 비슷하다면 해당 원인을 의심해봐야겠습니다.
셀프로 할 수 있는 에어컨 냄새 제거 방법
에어컨 청소 전문 업체를 부르면 쉽게 해결이 되지만 그 만큼 비용도 나가게 됩니다. 우선은 셀프로 할 수 있는 냄새 제거 방법에 따라 점검해보세요. 매 년 관리를 해줘야 하는데 점검과 청소로 개선할 수 있는 점이 있는지 확인 후에 전문가를 불러도 늦지 않습니다.
1. 필터 청소 : 기본 중의 기본
냄새가 나지 않더라도 올해 에어컨을 새로 가동하기 전에 필터를 점검하고 교체하거나 청소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전원을 끄고 필터를 분리합니다 : 모델 별로 분리 방법은 제조사 사이트에 가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흐르는 물에서 부드러운 천으로로 닦아주시거나 청소기로 먼지를 제거해주세요. 절대 칫솔이나 솔을 사용하지 말고 부드러운 천이나 물로 청소해주세요.
- 만약 오염이 심한 경우에는 중성세제를 풀어 10~20분 정도 담근 후 충분히 헹구어 주세요
- 물기를 털고 비스듬히 세워 그늘에서 충분히 건조 시켜 줍니다.
필터 전용 세정제를 쓰면 살균 효과가 더 좋아요.
👉 에어컨 필터 전용 세정제 보기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 받습니다.
2. 실내기 내부 청소
보통 실내기 뒤쪽에 있는 열교환기에서도 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쌓인 먼지가 공기 중 습기와 결합하면 곰팡이가 발생하고 냄새 분자도 달라 붙게 됩니다. 그것이 원인이 되어 냄새가 날 수 있으니 실내기 내부도 청소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 에어컨 커버를 열고 내부를 확인하세요.
- 에어컨 전용 클리너 또는 폼 타입 스프레이를 사용해 냄새 원인인 열교환기 부위를 청소해줍니다.
- 청소 후에는 30분 정도 송풍 모드로 내부를 잘 말려주세요. 평소에 에어컨 사용 시에도 끄기 전에 송풍 최소 10분 정도를 해주고 꺼주면 곰팡이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3. 배수 호스 점검
호스가 꺾이거나 막힌 부분이 없는지 확인하고, 필요하다면 호스를 분리해 물로 세척하거나 교체하도록 합니다. 오래된 배수 호스는 악취의 주범일 경우가 있습니다. 그리고 악취가 하수구 냄새와 비슷하다면 배수 호스가 하수구와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해 보도록 합니다. 하수구 냄새가 역류하여 배수 호스를 타고 악취를 내뿜는 경우도 있습니다.
호스 청소, 교체 등으로 해결할 수도 있고 연결을 하수구로만 가능하다면 악취 차단 트랩을 이용해서 보완할 수 있습니다.
에어컨 냄새 예방 관리 루틴
작년의 경험 후에 배운 에어컨 사용 방법이 있습니다. 더운 여름 냉방기를 가동한 후 외출 시에 그냥 에어컨을 끄고 나가시나요? 저도 작년에 알았는데 그렇게 하면 곰팡이가 생길 수 있다고 합니다. 요즘 나오는 에어컨들은 자체적으로 종료를 해도 일정 시간 내부 건조 송풍을 운행한 후 꺼져서 관리가 좀 더 쉬워졌다고 합니다.
하지만 그런 기능이 없는 에어컨이라면 관리와 사용에 좀 더 주의를 기울이면 좋을 것 같습니다.
- 필터 청소는 한 달에 한 번 : 자주 하면 좋겠지만 한 달에 한 번이라도 해주면 더욱 깨끗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냉방 후 송풍 모드 10분 이상 작동 : 내부 건조를 해주어야 곰팡이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냉방 후에는 송풍 모드 10분 이상 작동하여 건조시켜주세요.
- 장기간 미사용 시에는 에어컨 커버 : 집은 매일 청소해도 매일 먼지가 나옵니다. 여름이 지나 에어컨을 사용하지 않게 되면 청소 후에 커버를 씌워 내부를 보호해주세요.
- 여름 시작 전 미리 점검&청소 : 점검을 하다가 A/S를 맡기거나 전문가를 불러야 하는 경우도 생깁니다. 여름이 다가올 수록 원하는 일정에 하기 힘드니 더워지기 전에 미리 점검하고 청소까지 해둔 다면 필요한 때가 되었을 때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마치며
작년의 경험으로 중간에 한 번 관리를 해줘야지 생각은 했지만 생각으로만 끝났네요. 이제 곧 더워질텐데 미리 필터 꺼내서 청소하고 싹 말려 놔야겠습니다. 에어컨 사용할 때도 꼭 냉방 후에는 송풍으로 내부 건조하면서 사용하는 것도 꼭 기억해주세요. 에어컨은 청소와 관리가 핵심입니다.